경전/아미타경

염불하여 왕생한 우리나라 사람

敎當 2014. 3. 10. 19:54

(-) 광덕(光德)과 엄장(嚴莊)

신라의 문무왕(文武王)때에 광덕(光德) 엄장(嚴莊)두 사문(沙門)이 있어

사이가 매우 두터워서 항상 서로 약속하기를

먼저 극락에 가는 사람이 뒤 사람에게 알려 주자고 하였다

광덕은 경상북도 경주에 있는 분황사(芬皇寺) 서쪽 마을에 은거(隱居)하면서

신 삼는 일을 업으로 하고 아내를 두고 살았고

엄장은 남악(南岳)에 있으면서 농사를 짓고 혼자 살았다.

 

하루는 석양(夕陽)볕이 산마루에 옆으로 비스더미 비치어 솔나무 그늘이 고요히 내리는데

광덕이 창 밖에서

“나는 벌써 서방 극락에 갔으니 그대는 잘 있다가 나를 따라 오라”하는 소리에

엄장이 문을 열고 나가 보니 구름 속에서 풍악 소리가 들리며 광명이 땅에까지 뻗치었다.

이튿날 광덕을 찾아가 보니 과연 죽었다.

엄장은 광덕의 아내와 함께 장사를 치르고 그 아내에게

“광덕이 죽었으니 나와 함께 사는 것이 어떠한가.”하였더니

그 아내가 허락하므로 그 집에 그대로 머물러 살았다.

 

어느 날 동침을 요구하였더니 아내는 이상하게 여기면서

“스님이 정토에 왕생하려 함은 마치 나무에 올라가서 생선을 잡으려 함과 같소.”하였다.

그러므로 엄장이 “광덕도 그랬을 터인데 어찌하여 나는 그렇지 못하는가.”하였다.

아내는 또 말하기를

“남편이 나와 십년을 같이 살았지만 한 번도 한 자리에서 잔 적이 없었는데

하물며 몸을 더럽힐 리가 있으랴

남편은 매일 단정히 앉아서 일심으로 아미타불을 염불하거나 혹은 십육관(十 六觀)을 닦았으며

그러다가 관(觀)이 성취되고 달빛이 창틈으로 들어오면

달빛 위에 올라가 가부좌하고 앉아서 지성으로 공부하였으니,

그러고야 서방 극락세계에 아니 가고 어디로 가겠소.

천리 길을 가는 사람은 첫 걸음부터 알 수 있다는데

이제 스님의 하는 것을 보면 동으로는 갈지 모르나 서방으로는 갈 것 같지 못 합니다.”하였다.

 

엄장은 망신을 톡톡히 당하고 부끄럽게 여겨 돌아 와서

원효(元曉)스님을 찾아보고 정성껏 공부하는 방법을 물었더니

원효스님은 쟁관(諍觀)하는 법을 가르쳐 주었다.

엄장은 그 후부터 일심(一心)으로 관(觀)을 닦다가 역시 서방 정토에 왕생하였다.

 

(=) 욱 면(郁面)

신라 경덕왕(景德王)때에 강주(康州) 지금의 진주(晉州)의 선남(善男) 수십 명이 모여

서방에 왕생하기를 원하여 그 고을 경내(境內)에 미타사(彌陀寺)를 처음으로 세우고

萬일 기한으로 염불회를 결성하고 염불하였다.

이 때 아간귀진(阿干貴珍) 집의 계집종 욱면이

상전(上典)을 따라와서 길 뜰 가운데 서서 염불을 하곤 하였다.

 

주인이 저할 일을 아니하고 따라 와서 염불하는 것을 밉게 여겨

매일 곡식 두 섬씩을 주면서 하루 저녁에 찧게 하였더니

욱면은 일경(一更)쯤 되어 벌써 찧어 마치고

곧 절에 가서 또 염불을 하면서 밤낮으로 게으르지 아니하였다.

 

마당 가운데 좌우 양쪽에 긴 말뚝을 세우고

두 손바닥을 노끈으로 말뚝에 메고 합장(合掌)한 채로 좌우로 왔다 갔다 하면서 지성으로 수행하더니

한 번은 공중에서 소리 나면서“욱면 아씨도 법당에 들어가서 염불하라” 하는 것이었다.

대중이 이 소리를 듣고는 욱면을 권하여 법당에 들어가서 대중과 함께 염불하게 하였다.

그러한지 얼마 후에 하늘 풍악이 서쪽에서 들려오면서

욱면이 자리에서 솟아서 지붕을 뚫고 공중으로 올라가서 서쪽으로 향하더니

교외(郊外)에 이르러 형체를 버리고 진신(眞身)을 나타내어 연화위에 앉아 광명을 놓으면서

천천히 서방으로 가는데 풍악 소리가 그치지 아니하였다.

 

승전[僧傳)]에는 동량화주(棟樑化主) 팔진(八珍)은

관음보살이 변하시여 나타나신 것으로 신도(信徒)千인을 데리고 있으면서

두 반으로 나누어 한 반은 노력을 제공하고 한 반은 수행하였다.

노력하는 반에서 일 보는 사람이 계(戒)를 지키지 못하고

축생도에 떨어져서 부석사(浮石寺)의 소가 되어 항상 경(經)을 싣고 다니더니

경을 실었던 공력(功力)으로 아간귀진의 집에 변해 낳아서 계집종이 되었으니

이름이 욱면이라 볼 일이 있어 하가산(下柯山)에 갔다가 꿈을 꾸고 보리심(菩提心)을 발하였다 한다.

 

아간(阿干)의 집이 혜숙법사(惠宿法師)가 처음으로 세운 미타사(彌陀寺)에서 떨어진 거리가 멀지 아니하였고

아간이 매양 미타사에 가서 염불하였는데 욱면도 따라 가서 뜰 가운데서 염불하였다 하며

이렇게 염불하기 九년 동안 을미년 정월 二十一일에 예불(禮佛)하다가

지붕을 뚫고 공중으로 올라 가다가 소백산(小伯山)에 가서 신 한 짝을 떨어 뜨렸는데

그 곳에 보리사(菩提寺)를 지었고 산 밑에 이르러 육신(肉身)을 버렸는데

그 곳에 二보리사를 짓고 현판을 [욱면등천지천]이라 하였다 한다.

 

(三) 염불사(念佛師)

경주(慶州)의 남산 동족에 피리촌(避里村)이 있고

촌중에 절이 있으니 이름을 피리사(避里寺)라 하였다.

그 절에 스님이 있으나 이름을 말하지 않았다

항상 아미타불을 염불하는 소리가 성중(城中)三百六十방(坊)十七萬호(戶)가 다 같이 듣게 되는데

그 소리가 크지도 작지도 않고 언제나 한결같이 들리었다.

그래서 사람들이 이상하다고 존경 하면서 [염불스님]이라고 불렀다.

염불 스님이 입적(入寂)한 뒤에 흙으로 등상을 만들어서 민장사(敏藏寺)에 모시고

그가 있던 피리사는 염불사라고 이름을 고치고

그 절 곁에 있는 작은 절 이름을 양피사(讓避寺)라 하였다.

 

(四) 포천산(布川山)의 다섯 비구(比丘)

삽양주 동북(東北) 二十리 쯤에 포천산 이 있고

산중에 석굴(石窟)이 있어 매우 이상하고 고와서 마치 사람이 일부러 파서 만든 것 같았다.

다섯 비구(比丘)가 그 굴에 와서 있었는데

이름은 알 수 없고 항상 아미타불을 염불하기 수십년이 되었다.

하루는 문득 성중(聖衆)이 서쪽으로부터 와서 맞으므로

다섯비구가 각각 연대(連臺)에 올라 앉아 공중에 떠서 가다가

통도사(通度寺) 문밖에 이르러 유련(留連) 하면서 하늘 풍악이 잡히었다.

절승이 나가 보니 다섯 비구가 무상(無常) 고(苦) 공(空)의 이(理)를 풀어 밝히고는

육신(肉身)을 벗어 버리고 대광명(大光明)을 놓으면서 서쪽으로 가버렸다.

육신을 버린 곳에 절승들이 정사(亭榭)를 짓고 치루(置樓)라 이름 하였는데 지금도 있다 한다.